[일활동-커어개발]강의와 내레이션을 위한 스피치 기법, 7회차

 

 

스피치란 사전적 의미로는 연설, 담화, 언어 능력, (특정 개인의) 말투[화법]를 뜻하는 단어로,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어떤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말합니다. 회사원이나 학생이 여러 사람 앞에서 하는 프리젠테이션이나, 정치인 등이 준비된 내용을 발표하는 각종 연설, 쇼나, TV나 관훈클럽 등 사회자의 진행과 토론에서 진행규칙에 따라 참여자가 준비한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. 이외에도 채용 등에서 면접, 뉴스나 잡지방송 등 어떤 목적을 가지고 특정한 사람과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인터뷰 등도 스피치에 해당합니다

 

강사님은 스피치를 잘하려면 이론만으로 안되고 연습하고 훈련해서 반드시 몸으로 익혀야 하며글을 알고 이해하는 능력 등 낭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낭독의 과정은 우리 눈과 머리에 들어온 글을 해석하고()호흡, 발성, 발음 기관을 통해 말로 표현하고()그 소리를 다시 귀로 들으며, 우리 몸 전체로 글을 느낀다(느낌)내 느낌과 마음을 상대에게 건넨다(전달)라고 하였습니다.

 

1회차에서는 스피치 알기(이해와 오해, 목적, 과제), 자기소개 및 개인코칭, 생각과 언어를2회차에서는 생각정리법, 과제점검 및 코칭을, 3회차에서는 시각언어 표현법, 음성언어 표현법, 호흡법, 낭독연습과 코칭을4회차에서는 발성법 익히기를5회차에서는 발음법(모음의 발음법, 복모음의 발음법), 스와 시 낭독 등을, 6회차에서는 자음 발음법, 어려운 발음법(비정형시와 수필낭독)을, 7회차에서는 억양법 익히기, 낭독으로 익히고 스피치(독후감 내레이션) 목소리의 고저(높낮이), 강약, 속도, 끓어 읽기, 쉬어 읽기어조억양장단음 등에 대한 강의를 하였습니다

 

[크기변환]20250502_100058.jpg

[크기변환]20250502_101319.jpg
[크기변환]20250502_101735.jpg
[크기변환]20250502_102214.jpg
[크기변환]20250502_105947.jpg
[크기변환]20250502_105953.jpg
[크기변환]20250502_111327.jpg
[크기변환]20250502_111904.jpg
바야흐로 스피치 시대
, 지식 정보화 시대인 지금, 알고 있기만 해선 안됩니다. 아무리 유능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아는 바를 다른 사람에게 말로 잘 표현할 수 없다면 유능한 사람인지 알 수 없습니다

 

스피치를 잘하려면 목소리가 천성적으로 좋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표현법, 호흡법, 발성법, 발음법, 억양법, 낭독연습 등 꾸준한 반복훈련과 연습으로 좋은 목소리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.

평소 자신의 목소리가 맘에 들지 않아 스피치에 자신이 없는 분 인내를 가지고 좋은 목소리를 갖도록 노력해 보시길 바랍니다!

 

 

학습지원단 이수형